팔레네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레네는 토성의 위성으로, 2004년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S/2004 S 2로 명명되었으며, 2005년 팔레네라는 이름이 잠정 승인되었고 2006년 공식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팔레네는 미마스와 엔켈라두스 사이의 궤도를 공전하며, 엔켈라두스에 의한 궤도 공명의 영향을 받는다. 팔레네 궤도에는 팔레네 고리가 존재하며, 이는 팔레네 표면의 운석 충돌로 발생한 먼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카시니 탐사선은 팔레네를 근접 통과하며 관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발견한 천체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2004년 발견한 천체 - 메토네 (위성)
메토네는 카시니 우주선에 의해 발견된 토성의 작은 위성으로, 미마스와의 궤도 공명으로 궤도가 교란되며 알키오니데스 군에 속하고, 매끄럽고 비구형인 표면과 낮은 밀도, 높은 공극률을 가진 얼음으로 이루어져 메토네 고리 호의 근원으로 추정된다. - 토성의 위성 - 에피메테우스 (위성)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비슷한 궤도를 공유하며 4년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토성의 위성으로, 불규칙한 모양에 낮은 밀도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토성의 A 고리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 토성의 위성 - 이아페투스 (위성)
1671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는 뚜렷한 명암 대비 표면, 적도 산맥, 특이한 궤도 경사각이 특징이며,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이름에서 유래했고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팔레네 (위성)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팔레네 |
다른 이름 | S/1981 S 14 (최초 발견) S/2004 S 2 (두 번째 발견) 토성 XXXIII |
발음 | /pəˈliːniː/ |
명명 유래 | 팔레네 |
형용사 | 팔레네아누스 /pælɪˈniːən/ |
발견 | 보이저 2호 (최초 발견) 카시니 이미징 팀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 | 2004년 6월 20일 (JD 2453177.5) |
반장축 | 212,300 km |
궤도 이심률 | 0.004 |
공전 주기 | 1.009549일 |
궤도 경사 | 0.1810 ± 0.0014° (토성의 적도 기준) |
위성 | 토성 |
소속 | 알키오니데스군 |
물리적 특성 | |
크기 | 5.76 × 4.16 × 3.68 km (± 0.14 × 0.14 × 0.14 km) |
평균 지름 | 4.46 ± 0.14 km |
부피 | 46.5 km³ |
질량 | 1.15 ± 0.40 × 10^13 kg |
밀도 | 0.251 ± 0.075 g/cm³ |
표면 중력 | 0.011-0.016 mm/s² |
탈출 속도 | 장축 기준: 1.15e-8 km/s 극 기준: 1.15e-8 km/s |
자전 | 동기 |
자전축 기울기 | 0 |
2. 발견
팔레네는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임무 중 카시니 이미징 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임시 명칭 S/2004 S 2가 부여되었다. 1981년 8월 23일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에서도 팔레네가 확인되었으며, 당시 임시 명칭은 S/1981 S 14였다.
2. 1. 발견 과정
팔레네는 카시니-하위헌스 임무 중 카시니 탐사선이 2004년에 촬영한 사진을 통해 카시니 이미징 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S/2004 S 2라는 임시 명칭이 붙었다.
2004년 발견 이후, 팔레네는 1981년 8월 23일 보이저 2호가 최초로 사진을 촬영했음이 확인되었다. 당시에는 S/1981 S 14라는 임시 명칭이 붙었고, 토성으로부터 약 200000km 떨어진 곳을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른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에는 궤도를 계산할 수 없었지만, 최근 비교 분석 결과 팔레네의 궤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 명명
2005년, 국제천문연맹(IAU) 행성계 명명법 소위원회에서 팔레네라는 이름을 잠정적으로 승인했고, 2006년 IAU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이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거인 기가스 중 알키오네우스의 일곱 딸 중 하나인 팔레네에서 따왔다. 공식 번호는 Saturn XXXIII이다.3. 궤도
팔레네는 미마스와 엔켈라두스 사이를 공전한다. 엔켈라두스의 평균 경도 섭동 공명 영향을 받지만, 이 섭동은 미마스가 메토네에 미치는 영향만큼 크지는 않다. 섭동으로 인해 팔레네의 궤도 요소는 궤도 장반축에서 약 4km, 경도에서 0.02°(약 75km) 정도 변화한다. 궤도 이심률은 0.002에서 0.006 사이, 궤도 경사각은 약 0.178°에서 0.184° 사이에서 변한다.[7]
3. 1. 궤도 역학
안테, 메토네와 매우 가까운 궤도를 가지고 있어, 이들 위성은 역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세 위성의 기원에 대해서는 미마스 또는 엔켈라두스에서 분리되었다는 설과, 초기 주변에 다량 존재했던 소위성 집단의 생존자라는 설이 있다.4. 팔레네 고리
2006년, 카시니 우주선이 전방 산란광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카시니 이미징 팀은 토성 주위에 팔레네의 궤도를 공유하는 희미한 먼지 고리를 발견했는데, 이는 현재 팔레네 고리로 명명되었다. 이 고리는 약 2500km의 반지름 범위를 갖는다. 이 고리의 근원은 팔레네 표면에서 운석 충돌로 인해 튀어나온 입자들로, 이 입자들이 팔레네의 궤도 주위에 확산된 고리를 형성한다. 이 고리는 파레네와 같은 궤도에 있는 얇은 먼지 고리로, '''R/2006 S 2'''라는 임시 명칭이 부여되었다. 고리를 구성하는 먼지의 전방 산란광을 관측함으로써 검출되었다. 반지름 방향으로 약 2500km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파레네의 표면에 충돌한 미소 운석에 의해 방출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5. 탐사
카시니 탐사선은 2017년 9월까지 토성과 그 위성들을 연구했으며, 2010년 10월 16일과 2011년 9월 14일에 각각 36000km(약 35405.48km)와 44000km 거리에서 팔레네를 근접 통과했다.[3]
참조
[1]
서적
A Pract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884
[2]
웹사이트
JPL (ca. 2008) Cassini Equinox Mission: Pallene
https://web.archive.[...]
JPL
2020-03-05
[3]
웹사이트
Cassini Tour Event Summary – Planned Observations of Small Satellites
https://atmos.nmsu.e[...]
Planetary Data Services
2022-03-31
[4]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Mean Orbital Parameter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3-06-05
[5]
웹사이트
衛星日本語表記索引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6]
웹사이트
太陽系内の衛星表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19-03-09
[7]
문서
궤도 요소에 대한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